한국식물병명목록 소개

  • 식물병명목록 소개
  • 병명목록 구성과 기준
  • 수록내용
  • 검토대상 주요학술지
  • 심의위원회

식물병명목록 소개

식물병명목록기후변화로 기존에 큰 영향을 주지 않던 병이 문제가 되거나, 세계화에 따른 교역과 인구이동 증가로 과수화상병처럼 우리나라에 없던 병원균이 도입되어 사회·경제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식물병명목록은 우리나라의 모든 식물에 발생하는
병 목록과 관련 문헌을 제공합니다. 이로써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 발생할 수 있는 병을 예측하고 사전예방법을 정립하거나, 검역대상병을 선정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등 한국의 식물병 연구와 관리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입니다.

한국식물병 기록의 역사

신속의 농가집성(農家集成, 1655)에 도열병과 관련된 기사가 있고, 서유구(徐有渠)의 행포지(杏蒲志, 1825)에는 배나무/향나무의 붉은별무늬병 기주교대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이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병에 관한 문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정후섭, 1998, 식물균병학의 어제와 오늘).
광복 이전에 식물병에 관한 조사는 일본인 위주로 수행되었고, 1913년부터 1928년까지 우리나라 재배식물에 대한 병의 종류와 분포 등을 조사한 결과가 ‘조선작물병해목록’으로 권업모범장 연구보고 15호(1928)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광복 이후부터는 농업시험장 병리과(현 국립농업과학원)를 중심으로 식물병을 조사하고 학회와 함께 결과를 정리하였습니다. 1972년에 ‘한국식물보호학회’에 의하여 ‘한국식물병·해충·잡초명감 1판’이 출판되었고, 이어 1986년에 동학회는 기주식물 437 분류군에 발생하는 1,539건의 병목록을 담아 2판을 출판하였습니다.
이후 식물병은 한국식물보호학회에서 독립한 한국식물병리학회에 의하여 관리되는데, 동학회는 1998년에 908 분류군의 기주식물에 발생하는 3,385건의 병목록을 정리하여 한국식물병명목록 3판으로 출간하였습니다. 이때부터 병목록에 참고문헌을 수록하였습니다. 이어서 1,226 기주식물 분류군에 발생하는 4,904건의 병을 포함하는 식물병명목록 4판이 2004년에 출판되었습니다. 2009년에 5판이 발간되면서 버섯이 기주에 추가되어, 기주가 총 1,268 분류군 그리고 여기에 발생하는 병이 5,944건이 수록되었습니다. 각종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조에 따라 한국식물병명목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이 되었고 2021년에 웹을 통하여 온라인 한국식물병명목록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구축된 DB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한국식물병명목록 6판이 출간되게 되었고, 6판에는 기주 1,390 분류군에 대한 병 6,534건, 문헌 9,918건이 수록되었습니다.



식물병명목록

수록내용

이 목록은 우리나라에서 채집되어 전문학술지, 연구기관과 대학의 정기간행물에 발표되었거나, 연구기관의 도감류, monograph 등의 단행본, 연구보고서에 수록된 병을 모두 실었다. 학술지의 경우 학술발표 초록도 대상에 포함시켰다. 하지만 5판 이후(2009.10.)에 추가되는 병명은 전문학술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하였고, 추가로 논문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묘사된 monograph 등의 단행본도 포함시켰다.

온라인 한국식물병명목록은 한국식물병명목록 6.2판(2024)을 기준으로 수정·보완하고 있는데 6.2판의 병명건수는 아래 표와 같다.

분류군, 병명 건수, 병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류군 병명 건수 병 비율(%)
곰팡이(유사균류 포함) 4,387 64.8
세균 298 4.4
파이토플라즈마 62 0.9
바이러스(바이로이드) 616 9.1
선충 1,385 20.5
기타 17 0.3
합계 6,765 100.0

심의위원회

  • 2017-2018
  • 2019-2020
  • 2021-2022
  • 2023
  • 2024
이름, 소속, 분과, 비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소속 분과 비고
오창식 경희대학교 세균 위원장
현익화 농림축산검역본부 진균  
예미지 농림축산검역본부 바이러스  
김점순 국립농업과학원 진균  
박덕환 강원대학교 세균  
홍진성 강원대학교 바이러스  
정희영 경북대학교 진균, 세균 부위원장
전용호 안동대학교 진균, 세균  
서상태 국립산림과학원 세균  
상미경 국립농업과학원 진균  
송은경 서울여자대학교 바이러스  
김순옥 국립생물자원관 진균  
최재혁 인천대학교 진균
이름, 소속, 분과, 비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소속 분과 비고
김순옥 국립생물자원관 진균 위원장
김경희 순천대학교 세균  
김동근 부산대학교 선충  
김홍섭 국립종자원 세균  
박병용 국립농업과학원 선충 선충분과장
송은경 서울여자대학교 바이러스  
예미지 농림축산검역본부 바이러스  
전용호 안동대학교 진균, 세균 세균분과장
정래동 전남대학교 바이러스  
최인수 부산대학교 선충  
최재혁 인천대학교 진균 부위원장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진균  
현익화 농림축산검역본부 진균  
홍승범 국립농업과학원 진균 진균분과장
홍진성 강원대학교 바이러스 바이러스분과장
이름, 소속, 분과, 비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소속 분과 비고
홍승범 국립농업과학원 진균 위원장
최재혁 인천대학교 진균 부위원장
최영준 군산대학교 진균 진균분과장
김순옥 국립생물자원관 진균 위원
최인영 전북대학교 진균 위원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진균 위원
이승열 경북대학교 진균 위원
백창기 원예특작과학원 진균 위원
이동현 국립산림과학원 진균 위원
전용호 안동대학교 세균 세균분과장
김경희 순천대학교 세균 위원
공현기 국립농업과학원 세균 위원
이수헌 경북대학교 바이러스 바이러스분과장
서장균 서울대학교 바이러스 위원
임승모 농림축산검역본부 바이러스 위원
변희성 국립농업과학원 바이러스 위원
최인수 부산대학교 선충 선충분과장
김동근 부산대학교선충연구센터 선충 위원
김영호 부산대학교선충연구센터 선충 위원
전재용 농림축산검역본부 선충 위원
이름, 소속, 분과, 비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소속 전화번호 E-mail 분과 비고
홍승범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025 funguy@korea.kr 진균 위원장
최재혁 인천대학교 032-835-8242 jaehyukc@inu.ac.kr 진균 부위원장
최영준 군산대학교 063-469-4582 yjchoi@kunsan.ac.kr 진균 진균분과장
김순옥 국립생물자원관 032-590-7252 sokim90@korea.kr 진균 위원
백창기 원예특작과학원 063-238-6313 plantdoctor7@korea.kr 진균 위원
이동현 국립산림과학원 02-961-2673 leedh2009@korea.kr 진균 위원
이승열 경북대학교 053-950-5761 leesy1123@knu.ac.kr 진균 위원
최인영 전북대학교 063-270-2527 iychoi@jbnu.ac.kr 진균 위원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278 hyon338@korea.kr 진균 위원
김경희 순천대학교 010-5003-7506 ghkim@scnu.ac.kr 세균 세균분과장
공현기 충북대학교 010-9382-4537 khgidea@chungbuk.ac.kr 세균 위원
유준명 충남대학교 010-3430-5951 junyu@cnu.ac.kr 세균 위원
전용호 안동대학교 010-7611-0505 yongbac@anu.ac.kr 세균 위원
이수헌 경북대학교 053-950-5763 suheon@knu.ac.kr 바이러스 바이러스분과장
변희성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301 hsbyun73@korea.kr 바이러스 위원
서장균 서울대학교 033-339-5877 jangseo@snu.ac.kr 바이러스 위원
윤주연 전북대학교 010-6624-5152 jyyoon@jbnu.ac.kr 바이러스 위원
임승모 농림축산검역본부 054-912-0762 truth0424@korea.kr 바이러스 위원
홍진성 강원대학교 010-6624-5152 jinsunghong@kangwon.ac.kr 바이러스 위원
박병용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838 daggernema@korea.kr 선충 선충분과장
김동근 부산대학교 선충연구센터 055-350-5504 kimdgkr@naver.com 선충 위원
김영호 부산대학교 선충연구센터 055-350-5504 yhokim@snu.ac.kr 선충 위원
전재용 농림축산검역본부 063-238-1045 dollmock@korea.kr 선충 위원
최인수 부산대학교 055-350-5504 ichoi@pusan.ac.kr 선충 위원
이름, 소속, 분과, 비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름 소속 전화번호 E-mail 분과 비고
홍승범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025 funguy@korea.kr 진균 위원장
최재혁 인천대학교 032-835-8242 jaehyukc@inu.ac.kr 진균 부위원장
최영준 군산대학교 063-469-4582 yjchoi@kunsan.ac.kr 진균 진균분과장
김순옥 국립생물자원관 032-590-7252 sokim90@korea.kr 진균 위원
백창기 단국대학교 041-550-3645 plantdoctor@dankook.ac.kr 진균 위원
이동현 충남대학교 042-821-5743 donghyeon.lee@cnu.ac.kr 진균 위원
이승열 경북대학교 053-950-5761 leesy1123@knu.ac.kr 진균 위원
최인영 전북대학교 063-270-2527 iychoi@jbnu.ac.kr 진균 위원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278 hyon338@korea.kr 진균 위원
김경희 순천대학교 010-5003-7506 ghkim@scnu.ac.kr 세균 세균분과장
공현기 충북대학교 010-9382-4537 khgidea@chungbuk.ac.kr 세균 위원
유준명 충남대학교 010-3430-5951 junyu@cnu.ac.kr 세균 위원
이미현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282 mihyun798@korea.kr 세균 위원
전용호 안동대학교 010-7611-0505 yongbac@anu.ac.kr 세균 위원
윤주연 전북대학교 010-6624-5152 jyyoon@jbnu.ac.kr 바이러스 바이러스분과장
변희성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301 hsbyun73@korea.kr 바이러스 위원
서장균 서울대학교 033-339-5877 jangseo@snu.ac.kr 바이러스 위원
이봉춘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300 leebc21@korea.kr 바이러스 위원
임승모 농림축산검역본부 054-912-0762 truth0424@korea.kr 바이러스 위원
홍진성 강원대학교 010-6624-5152 jinsunghong@kangwon.ac.kr 바이러스 위원
박병용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838 daggernema@korea.kr 선충 선충분과장
박세근 국립농업과학원 063-238-3309 psgbabo@korea.kr 선충 위원
전재용 농림축산검역본부 063-238-1045 dollmock@korea.kr 선충 위원
최인수 부산대학교 055-350-5504 ichoi@pusan.ac.kr 선충 위원

검토대상 주요학술지

* 5판 이후에는 주요 학술지를 대상으로 검토하여 신규 병명으로 추가하였는데 아래는 주요 참고 저널이며 이 저널 외에도 국내에서 발생한 식물병에 대한 어떤 과학저널이나 이에 준하는 단행본에 게재된 병명도 채책하였습니다

저널명, 분야, 발행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널명 분야 발행처
Research in Plant Disease(식물병연구) 전체 한국식물병리학회
The Plant Pathology Journal 전체 한국식물병리학회
Mycobiology 진균 한국균학회
Korea J. Mycology(한국균학회지) 진균 한국균학회
한국농약과학회지 전체 농약과학회
한국버섯학회지 진균 한국버섯학회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지 전체 경상대학교
한국잔디학회지 전체 한국잔디학회
Journal of Microbiology(한국미생물학회) 전체 한국미생물학회
Korean J. Microbiol.(미생물학회지) 전체 한국미생물학회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균학회 한글학술지) 진균 한국균학회
Plant Disease 전체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Journal of General Plant Pathology 전체 Phytopathological Society of Japan
Plant Pathology 전체 British Society for Plant Pathology
Journal of Plant Pathology 전체 The Italian Phytopathological Society
Journal of Phytopathology 전체 German Society for Plant Protection and Plant Health

병명목록 구성과 기준

기주명

기주명은 국명, 영명, 학명을 기록하였다. 기주의 국명은 한반도생물다양성 (국립생물자원관) (https://species.nibr.go.kr/index.do)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산림청) (http://www.nature.go.kr/main/Main.do)
> 씨앗은행 (농촌진흥청) (http://genebank.rda.go.kr/plantMain.do) > 기존 한국식물병명목록(이창복, 1995. 원색대한식물도감)의 우선 순위로 이름을 채택하였다. 동일 기주 학명에 대하여 DB에 따라 제시하는 국명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로 구분하고 병기하였다.
기주의 학명은 한반도생물다양성을 우선으로 하고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영국의 큐 왕립식물원과 미국의 미주리 식물원이 함께 운영하는 The Plant List DB (http://www.theplantlist.org),
미국 농무성 유전자원센터 GRIN 시스템(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taxonomysimple),
한국식물병명목록 5판을 참고로 하였다. 기주의 영명은 산림청에서 발간한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2022)’을 우선으로 하고 산림청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미국농무성 유전자원센터 GRIN시스템, 기존 목록 5판 등을 참고하였다. 기주가 버섯인 경우에는 학명은 MycoBank, 영문명은 Edible and Poisonous Mushrooms of the World (Hall 등, 2003.Timber Press), 국명은 한국의 버섯(김양섭 등, 2008. 김영사)을 기준으로 하였다.


병명

병명의 국명 제정 원칙은 다음과 같다.
· 기존 국문명 사용 기준
① 논문을 포함한 공식적인 문서에는 ‘한국식물병명목록’을 기준으로 기주명과 식물병명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② 식물병의 국문명을 기술할 때는 ‘기주명’, ‘병명’ 순서로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함 (예: 토마토 궤양병, 오이 모자이크병)
③ 식물병원균을 기술할 때는 ‘기주명’과 ‘병원균명’을 붙여서 한단어로 기술함을 원칙으로 함
(예: 토마토궤양병균,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④ ‘한국식물병명목록’에 기술된 기존 국문명이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 규정에 맞지 않다 하더라도 개정 전까지는 목록집의 병명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예: 참나무 시들음병 – 한글 맞춤법 상 시듦병이 맞지만 기존 이름 사용)
· 신규 국문명 명명 기준
① 식물병의 영문명을 기준으로 ‘한국식물병명목록’에 기술된 영문명과 동일한 경우에는 이를 따라 국문명을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예: canker, 궤양병)
② 국문명 부여는 보고자가 제안하고, ‘한국식물병리학회 식물병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③ 신규병은 자연발생된 병으로 동료검토를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경우만을 인정함 (인공접종기주에서 병 발생은 포함하지 않음).
④ 신규 국문 병명을 부여할 때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을 따를 것을 권고함
병명의 영명은 6판에서는 5판까지 기록된 것을 미국식물병리학회가 제공하는 Common Names of Plant Diseases (https://www.apsnet.org/edcenter/resources/commonnames/pages/default.aspx)를 참고로 재정비하였다. 특히 바이러스의 경우에 5판까지 기록된 병명의 국명과 영명이 병징에 따라 부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병징과 일치하지 않아 사용자들에게 오히려 혼선을 준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국명과 영명을 기록하지 않았다. 대신 국명의 경우에는 우선 바이러스(바이로이드)병으로 통칭하였다. 향후 시간을 갖고 충분히 고려하여 새로운 국명과 영명을 재정할 필요성이 있다.


병원체명

6판에서는 병원체명의 최근 학명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곰팡이의 경우에는 모든 학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였다.
① 병원체의 학명은 MycoBank (https://www.mycobank.org/)를 우선으로 하고
Index Fungorum (http://www.indexfungorum.org/names/names.asp)을 참고하였다.
② MycoBank 또는 Index Fungorum의 학명을 다음과 같이 반영하였다.
- 기존 병명목록에 학명이 A로 제시되어 있으나 MycoBank에서 B가 현재명으로 제시된 경우에는, 확실한근거(문헌, 공신력 있는 DB, 분류학자 자문 등)가 있다면 기존 병명목록 학명 A를 이명으로 옮기고 B를 제1학명으로 대체하였다. 이 경우에 비고란에 ‘5판에는 A로 기록’되었음을 추가하여 학명이 변경되었음을 표시하였다. 예) 한국식물병명목록 5판의 선인장 탄저병은 유성세대 학명 ‘Glomerella cingulata (A)’로 기록되어 있으나 MycoBank의 현재명은 무성세대 학명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이다. 국제조류·균류· 식물명명규약(ICN)의 일균일명 원칙에 따라 Colletotrichum만이 명확히 유효한 학명이 되었으므로 B를 제1학명 위치에 기록하고 A는 이명에 기록하였다. 그리고 비고란에 ‘5판은 G. cingulata로 기록’을 추가 하였다.
- MycoBank에 B가 현재명으로 제시되었더라도 근거가 불충분하다면[예: 문헌 부재, 학명 A 또는 B의 분류학적 재검토 필요, 해당 학명이 종복합체(species complex)인 경우] 기존 A를 제1학명에 그대로 두고 B를 이명에 기록하되, 학명 비고란에 ‘MycoBank 현재명 B’임을 표시하였다. 예) 한국식물병명목록 5판의 시금치 녹병은 ‘Puccinia spinaciae (A)’인데, MycoBank의 현재명은 ‘Puccinia effusa (B)’이다. 하지만 Puccinia effusa에 대한 근거가 명확하지 않고 학계에서 아직 논쟁 중에 있다고 판단하여, 제1학명 위치에 Puccinia spinaciae를 유지하고, 이명에 Puccinia effusa를 추가 하였으며, 비고에 ‘MycoBank 현재명 P. effusa’임을 표기하였다.
③ 바이러스는 6판에서 속명을 추가하였다. 하지만 실제 종명이 주로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속명은 옅은색으로 적고 괄호로 구분하였다.


문헌

해당 병원체를 최초로 동정한 문헌을 제1문헌으로 우선적으로 기록하고, 이후에 학명이 변경된 경우에 이를 기록한 문헌이나, 해당 병을 자세히 기록한 문헌을 제2, 제3 등의 문헌으로 추가하였다. 문헌은 5판까지는(2009) 논문 외에도 해당 병명을 확인할 수 있는 병해도감, monograph 등의 단행본, 연구보고서, 학술발표초록도 포함하였으나, 5판 이후로는 저널의 논문을 위주로 하고 논문 수준으로 자세하게 표현되었다고 판단되는 기타 자료를 유효한 문헌으로 추가하였다. 문헌은 저자, 문헌명, 권, 쪽수, 년도 순으로 기재하였다.


비고

기주명, 병명, 병원체명, 문헌을 기록함에 있어 추가의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마지막의 <비고>에 기록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국립농업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ll rights reserved.
55365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농생명로 166
한국식물병리학회
The Korea Society of Plant Pathology. All Rights Reserved
06130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신관 9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