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씨앗은행

검색

곤충자원관

곤충자원 유형 및 종류

Allomyrina / dichotoma / 장수풍뎅이
사이버 생태원 이용정보보기
분류정보
상세정보
학명 Allomyrina dichotoma (Linnaeus)
목명 Coleoptera[딱정벌레목] 과명 Dynastidae[장수풍뎅이과]
국명 장수풍뎅이 별칭 독각선(獨角仙)
이미지
  • mp/MP_ZO1CQ0001_01.JPG
  • mp/MP_ZO1CQ0001_02.JPG
  • mp/MP_ZO1CQ0001_03.JPG
  • mp/MP_ZO1CQ0001_04.JPG
  • mp/MP_ZO1CQ0001_05.JPG
  • mp/MP_ZO1CQ0001_06.JPG
  • mp/MP_ZO1CQ0001_07.JPG
  • mp/MP_ZO1CQ0001_08.JPG
  • mp/MP_ZO1CQ0001_09.JPG
형태(성충) 몸길이는 30-55mm로 우리나라의 풍뎅이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몸은 적갈색내지 흑갈색으로 매우 두껍고 뚱뚱하다. 수컷은 광택이 있고, 머리에는 굵고 긴 뿔이 있는데 그 끝은 사슴뿔처럼 갈라졌으며, 앞가슴등판에도 약간 짧고 끝이 날카로우며 앞쪽으로 향한 뿔이 있다. 암컷은 보다 짙은 색이며, 등쪽에는 아주 짧고 연한 털이 덮여서 광택이 보이지 않으며, 뿔은 없다.
국내 분포지 전국
국외 분포지 중국, 일본
참고문헌 김진일,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II. 딱정벌레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김진일, 이원규, 1999, 쉽게 찾는 우리 곤충, 현암사,   김창환, 1978, 한국곤충분포도감 제2편 딱정벌레류, 고려대학교 출판부,   남상호, 1996, 원색도감 한국의 곤충, 교학사,   신유항, 1993, 원색한국곤충도감, 아카데미서적,  
생태
상세정보
이미지
  • bp/BP_ZO1CQ0001_01.JPG
  • bp/BP_ZO1CQ0001_02.JPG
  • bp/BP_ZO1CQ0001_03.JPG
  • bp/BP_ZO1CQ0001_04.JPG
  • bp/BP_ZO1CQ0001_05.JPG
  • bp/BP_ZO1CQ0001_06.JPG
  • bp/BP_ZO1CQ0001_07.JPG
  • bp/BP_ZO1CQ0001_08.JPG
  • bp/BP_ZO1CQ0001_09.JPG
  • bp/BP_ZO1CQ0001_10.JPG
  • bp/BP_ZO1CQ0001_11.JPG
  • bp/BP_ZO1CQ0001_12.JPG
  • bp/BP_ZO1CQ0001_13.JPG
  • bp/BP_ZO1CQ0001_14.JPG
  • bp/BP_ZO1CQ0001_15.JPG
  • bp/BP_ZO1CQ0001_16.JPG
  • bp/BP_ZO1CQ0001_17.JPG
  • cbp/CBP_ZO1CQ0001_01.JPG
생활사
식성 성충은 한여름에 참나무나 밤나무 등의 수액에 모이고 야행성으로 불빛에 날라온다. 애벌레는 낙엽이나 나무 따위가 썩은 식물성 먹이를 먹고 자라며, 겨울을 난 후 다음해의 봄부터 다시 자라서 7월경에 번데기가 된다.
참고문헌 김진일,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II. 딱정벌레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김진일, 이원규, 1999, 쉽게 찾는 우리 곤충, 현암사,   김창환, 1978, 한국곤충분포도감 제2편 딱정벌레류, 고려대학교 출판부,   박규택 외, 2000, 자원곤충학, 아카데미서적,  
사육정보
상세정보
자연먹이 성충은 참나무와 상수리 나무의 수액이나 사과와 복숭아 등의 액을 이용, 유충은 상수리나무와 참나무류의 낙엽이 썩은 부엽토 속에서 이들의 부식질을 먹는다.
인공사료 성충사료로서 젤리가 개발되어 있다.
사육조건 유충은 약 25℃의 온도와 65%의 습도로 사육하면 성장이 양호하며 온도가 높을수록(30℃이하) 생육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유충사육법 유충은 탈피를 통해 3령 단계(1령 약20mm, 2령 약30mm, 3령 약80-90mm) 를 거치며 3령으로 성장 후 동면한다. 유충은 부엽토 및 발효된 참나무톱밥 등의 부식질을 먹는다. 용기내에 발효된 참나무톱밥을 10cm 이상 넣은 후, 그 위에 1령유충을 놓아두면 스스로의 힘으로 파고들어가서 부엽토를 먹는다. 알과 유충의 사육에는 반드시 성충과는 다른 용기를 사용하고 밀도가 높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성충의 날카로운 다리에 의한 파손이나 유충끼리의 물어 뜯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령유충일 경우 30*30*30cm의 용기로서 5마리가 적당하고 밀도가 높으면 부엽토의 표면에 유충이 기어나온다. 사육실의 온도변화가 적고 직사광선이 쬐이지 않는 장소를 월동장소로서 선택해야 한다. 용기내의 습도를 잘 조절하고 또 겨울동안에도 온도가 높아서 먹이를 먹고 있을 경우에는 부엽토를 교환해 줄 필요가 있다. 노숙유충은 몸의 길이가 10cm 정도나 된다. 먹이를 먹고 있는 기간에는 복부 끝부분의 내부에 검정색의 똥이 차 있다. 번데기로 될 시기기 가까워지면 먹는 량도 줄어들고 차여있는 똥도 줄게 된다. 노숙유충은 부엽토속에서 몸을 움직여 분비물로서 안쪽의 벽을 허물고 매끈하게 하여 길이 70~80mm 되는 타원형의 번데기집을 만들어 번데기가 된다. 이 기간의 유충은 몸이 크고 튼튼한 것 같지만 대단히 가냘프고 예민하기 때문에 가급적 이 기간의 2~3주 동안에는 용기내에 손을 대지 않아야 된다.
성충사육법 사육용기는 사육할 두수에 따라 다르지만 60*30*30cm 유리 또는 플라스틱 용기에 10마리 정도 넣고 사육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며 암컷과 수컷의 사육비율은 1:3이 가장 적당하다. 수컷이 많을 경우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쟁탈전이 벌여져 죽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육용기내의 서식공간과 습도의 관리가 중요하며 가급적 자연상태와 비슷한 사육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제한된 공간내에서는 개체간에 싸움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자의 반 정도까지 부엽토와 참나무 등의 깔개를 넣고 먹이 및 활동범위를 분산하기 위해 두께 5cm 길이 15cm 정도의 나무가지 또는 나무조각를 2~3개 장치해 둔다. 부엽토의 표면이 건조하면 분무기로 물을 뿌리고, 먹이나 배설물로 인하여 더러워지면 표면의 부엽토를 착실히 교환함으로써 응애와 잡균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기타
참고문헌 三宅義一, 1970, 糞蟲の飼育, 昆蟲と自然, 5(1) : 9-15, 小島哲史, 1986, オオクワガタの累代飼育-累代飼育に關テクニシク 全記錄, GEKKAN-MUSSI, 16-21, ?淃洋志, 1987, カブトムツのco採集と飼育, 採集と飼育, 254-257, 石飛敦郞, 1971, ダイコクコガネの採集と飼育, 昆蟲と自然,  
질병정보
상세정보
질병명
원인균 null
현황 null
병징 배설물을 이용함으로써 앞으로는 곤충을 죽이지 않고도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
병원체특성
감염기구
방제및예방
참고문헌 三宅義一, 1970, 糞蟲の飼育, 昆蟲と自然, 5(1) : 9-15, 小島哲史, 1986, オオクワガタの累代飼育-累代飼育に關テクニシク 全記錄, GEKKAN-MUSSI, 16-21, ?淃洋志, 1987, カブトムツのco採集と飼育, 採集と飼育, 254-257, 石飛敦郞, 1971, ダイコクコガネの採集と飼育, 昆蟲と自然,  
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