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씨앗은행

검색

곤충자원관

곤충자원 유형 및 종류

Copris / tripartitus / 애기뿔소똥구리
사이버 생태원 이용정보보기
분류정보
상세정보
학명 Copris tripartitus Waterhouse
목명 Coleoptera[딱정벌레목] 과명 Scarabaeidae[소똥구리과]
국명 애기뿔소똥구리 별칭
이미지
  • mp/MP_ZO1GJ0005_01.JPG
  • mp/MP_ZO1GJ0005_02.JPG
  • mp/MP_ZO1GJ0005_03.JPG
  • mp/MP_ZO1GJ0005_04.JPG
  • mp/MP_ZO1GJ0005_05.JPG
  • mp/MP_ZO1GJ0005_06.JPG
  • mp/MP_ZO1GJ0005_07.JPG
형태(유충) 4-10월까지 성충이 채집된다.
형태(성충) 몸은 뿔소똥구리처럼 두껍고 굵은 공모양이나 크기가 훨씬 작고, 몸에는 광택이 많이 난다. 수컷 머리의 뿔은 전 종보다 짧아도 앞가슴등판 앞쪽의 돌기는 더 뚜렷하다. 소순판은 보이지 않고, 가운데다리의 밑마디 사이가 넓게 분리되었다. 앞다리 종아리마디 바깥쪽의 이빨모양 돌기는 4개이며, 뒷다리 종아리마디의 며느리발톱은 1 개, 미절판은 노출되었다. 몸길이 13~19mm.
국내 분포지 거의 전국, 특히 섬 지방에 많다.
국외 분포지 중국, 대만, 일본.
참고문헌 김진일,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II. 딱정벌레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김진일, 이원규, 1999, 쉽게 찾는 우리 곤충, 현암사,   김창환, 1978, 한국곤충분포도감 제2편 딱정벌레류, 고려대학교 출판부,   조복성, 1969, 한국동식물도감 제10권 동물편(곤충류II), 문교부,   김진일, 1991, 한국산 측기문풍뎅이류의 분류학적 연구 XIII. 금풍뎅이과, 한국곤충학회지, 21(2): 71-76,
생태
상세정보
이미지
  • bp/BP_ZO1GJ0005_01.JPG
  • bp/BP_ZO1GJ0005_02.JPG
  • bp/BP_ZO1GJ0005_03.JPG
  • bp/BP_ZO1GJ0005_04.JPG
  • bp/BP_ZO1GJ0005_05.JPG
  • cbp/CBP_ZO1GJ0005_01.JPG
생활사 소똥
식성 땅속에서 소똥을 둥글게 경단과 같이 만들어 알을 낳는다.
참고문헌 방혜선, Carmen Huerta, 김진일, 구태원, 2001,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와 뿔소똥구리(C. ochus)의 산란 생태에 관한 연구, 한곤학지, 31(4): 237-242,
사육정보
상세정보
자연먹이 먹이로는 목장에서 풀을 먹은 소의 분이 가장 좋으며, 사료를 먹이로 한 배설물도 소똥구리의 먹이로 가능하나 산란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되도록이면 목초지 분을 사용하도록 한다. 우분은 수거후 냉동실에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기직전 꺼내어서 녹인후 일정량을 공급하면 된다.
인공사료
사육조건 애기뿔소똥구리 사육에 있어 성충 사육배지로는 고운 밭토양, 유충 사육배지로는 vermiculite가 가장 적당하다. 유충사육용기로는 가로, 세로 10cm, 높이 7cm의 사육상자가 요구되며 꼭 같은 크기의 용기가 아니더라도 brood ball의 수분이 유지되고 형태가 파괴가 되지 않는 상자라면 가능하다.
유충사육법 유충은 어미가 만들어준 brood ball내에서 발육을 하는데, brood ball을 깨고 이것을 외부환경으로 노출시켰을 경우에는 거의 살아남지 못한다. 따라서, brood ball내에서 지속적으로 사육을 해야 하며, 유충이 든 ball의 사육배지로는 시판되고 있는 vermiculite가 적당하다. vermiculite에는 15-20%의 수분을 가해주어야 하며, Brood ball 전체를 vermiculite로 덮어주고, ball이 마르지 않도록 하루에 한번씩 수분을 체크해야 한다.
성충사육법 애기뿔소똥구리의 실내사육에 있어 온도는 23~26℃, 습도는 40~50%가 가장 적당하며,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우분에 곰팡이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낮은온도에서는 산란은 하지만 유충의 발육이 3-4배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사육용기는 애기뿔소똥구리가 자연상태에서 우분을 일정 깊이까지 운반하여 산란용 똥덩어리를 만드는 것을 고려하여 높이 25cm, 지름 10~15cm의 원통형 용기가 적당하며, 시중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1.5ℓ PET병도 이용이 가능하다. 원통형 용기 뚜껑에는 0.2cm정도 크기의 구멍을 내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사육토양으로는 일반 밭토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소똥구리가 흙을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적절한 수분(수분함수율 12-13%)을 가해 주어야 한다. 우분은 목초를 먹은 생우분이 먹이로 가장 좋으며, 암수 1쌍에 100~150g을 1주일에 한번씩 공급해 주면 된다.
기타
참고문헌 방혜선, Carmen Huerta, 김진일, 구태원, 2001,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와 뿔소똥구리(C. ochus)의 산란 생태에 관한 연구, 한곤학지, 31(4): 237-243,   제주도 민속자연사 박물관 (http://museum.jeju.go.kr/new/index.jsp), 원색 제주도의 곤충,   Tyndale-Biscoe, M., 1984, Adaptive significance of brood care of Copris diversus Waterhouse (Coleoptera: Scarabaeidae), Bulletin of Entomological Research, 74: 453-461, Paik, W. H., 1976, Biology of the dung beetles in Korea, Coll. of Agric. Bull. Seoul Natl. Univ., 1: 153-194, Bang, H. S., I. Y. Mah, S. J. Hwang, and J. I. Kim, 2000, Copris tripartitus Waterhouse (Coleoptera: Scarabaeidae) in indoor rearing,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30(2): 85-89,
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