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자원 유형 및 종류
- 분류정보
-
상세정보 학명 Apis mellifera Linnaeus 목명 Hymenoptera[벌목] 과명 Apidae[꿀벌과] 국명 양봉꿀벌 별칭 이타리봉 이미지 형태(성충) 몸길이는 12mm내외이다. 암컷은 암갈회황색 털이 많고 배는 흑갈색이며 제 1, 2 배마디는 적갈색이나 그 뒷가두리는 흑갈색이며 각 마디의 뒷가두리에 회황색의 띠가 있다. 날개는 투명하고 약간 황색이며 맥은 흑갈색이고 발목마디는 황갈색이다. 수컷은 일벌보다 크고 겹눈은 정수리에서 서로 붙어 있고, 주둥이는 퇴화되어 있다. 배는 흑갈색이며 각 마디는 뒷가두리와 배면은 황갈색이다. 암컷(여왕벌)과 일벌은 더듬이와 머리방패의 가장자리가 황갈색인 점이 다르다. 배는 길어서 가슴의 두 배나 되며, 황갈색이나 각 마디의 뒷가두리에 암갈색 띠가 있고 다리는 배와 같은 색이나 종아리마디와 발목마디의 기부는 흑갈색이다. 국내 분포지 전국 국외 분포지 전세계 참고문헌 김진일, 이원규, 1999, 쉽게 찾는 우리 곤충, 현암사, 김창환, 1970, 한국동식물도감 제11권 동물편(곤충류III), 문교부, 쓰주키 유이치 등, 1999, 수서곤충완전사육. 번식메뉴얼(개정판), 데이터하우스, 이종욱,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V. 벌, 파리, 밑들이, 풀잠자리, 집게벌레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 생태
-
상세정보 이미지 생활사 식성 참고문헌 김진일, 이원규, 1999, 쉽게 찾는 우리 곤충, 현암사, 이종욱,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IV. 벌, 파리, 밑들이, 풀잠자리, 집게벌레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 질병정보
-
상세정보 질병명 부저병 원인균 Bacillus larvae 현황 세균에 의한 꿀벌질병으로 가장 많이 발생되며 심각한 피해를 입힌다. 감염된 유충은 5×106 이상의 포자를 만드는 숙주로 작용하게 됨으로, 약한 봉군일 경우 그 해에 전체 봉군을 급속히 약화시켜 전멸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강한 봉군에서도 다음해까지 봉군을 지속적으로 약화시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역시 봉군 전체가 전멸될 수도 있다. 병징 죽은 충체 내에서 포자를 형성하며, 자연환경에서 오래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이 균에 감염된 유충은 감염 후 10~15일 후 체색이 유백색에서 점차 갈색으로 변하며 죽게 된다. 죽은 유충은 더욱 갈색이 짙어지며 물러 터지게 되고, 이때 사체는 시큼한 고기 썩는 특유의 냄새를 낸다. 외부에서 관찰하면 발병초기에는 봉개(capping)가 축축하고 유아방에는 유충이 어두운 색을 띠는 감염된 것들을 볼 수 있으며, 유충의 색이 점차 짙어지고 유충이 죽으면, 봉개는 가라앉아 움푹 들어가게 된다. 이때 일벌들은 봉개에 구멍을 내고 병든 유충을 제거하므로, 변색된 방에 구멍이 뚫려 있는지 여부를 보면 발병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병원체특성 B. larvae는 그람양성의 세균이고, 2.5~5.0×0.7~0.8㎛ 크기의 간균이다. 편모에 의한 운동성이 있으며, 내생포자를 만들기에 내열성 및 화학살균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건조상태에서 35년간 감염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기구 내생포자의 형태로 주로 일벌인 어린 유충에게 먹이를 주는 과정에서 감염된다. 성충 벌의 경우 많은 포자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거의 발병되지 않으며, 유충의 경우도 부화 후 1일 정도 된 유충은 평균 35개의 포자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나, 2일 또는 그 이상 경과된 유충은 수천 개 이상의 내생포자가 감염되어야 발병되며, 부화된 지 53시간이 지난 유충은 거의 감염되지 않는다. 감염된 내생포자는 유충의 경구를 통하여 중장에 도착한 후 24시간 내에 영양세포로 부화되며 급속히 증식한다. 유충의 온몸에 퍼져 증식된 영양세포들은 유충이 치사됨에 따라 내생포자의 형태로 변환되며, 1개 사체에 들어 있는 B. larvae의 내생포자의 수는 5×106~107개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치사된 유충은 일벌들에 의해 벌집 밖으로 제거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체의 내생포자는 벌집 및 많은 일벌들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 오염은 봉군 내 다른 많은 유충을 계속 감염시키게 된다. 방제및예방 세균은 바이러스와 달리 항생제에 민감하므로, 항생제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예방과 방제가 가능하다. 봉군의 병 진행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테라마이신에 의한 화학적인 치료를 실시한다. 아울러 테라마이신을 이른 봄과 가을철에 봉군이 급성장하기 전, 미리처리를 하면 발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거둘 수 있다.
- 질병정보
-
상세정보 질병명 노제마병 원인균 Nosema apis 현황 국내에서는 60년대 후반에 처음 발생하였는데, 유입경로는 명확히 확인하지 못했다. 70년대부터 전국일원으로 큰 피해를 끼쳤고, 현재도 전국적인 규모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여 양봉가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 프랑스 검역국의 경우, 이 병균을 모든 나라에서 검사 및 방제해야 할 벌의 6대 질병중의 하나로 지정하고 있다. 현재 이 질병의 청정지대로서 뉴질랜드와 호주뿐이다. 병징 N. apis 감염된 꿀벌의 배는 직장에 축척된 배설물로 인하여 팽대해 있고, 정상적으로 날지 못하며, 날씨가 좋아지고 유밀이 왕성해지면 서서히 소문 밖으로 기어 나온다. 내부병징은 정상적인 꿀벌 위는 적갈색인데 반해, 이병에 걸렸을 때는 유백색으로 보인다. 꿀벌에서의 N. apis 감염으로 인한 피해는 수명단축, 여왕봉 교체와 감염초기의 벌들에 있어서는 전형적인 포복증상을 보인다. 병원체특성 N. apis의 포자가 위에 들어가면 30분이내 극사(polar filament)를 내어 위벽에 정착한다. 이것을 원형체(planont)라고 하는데, 포자각을 떠나 한동안 활성이 없는 영양체(trophozoite)로 되어 둥근 모양으로 커진다. 영양체는 다시 낭체(meront)로 되면 이것을 다시 여러 가지의 생식체(sporoblasts)를 생성하여 포자로 된다. 이 포자가 위 전체에 감염되려면 10~14일이 소요된다. 포자의 증식과정에 알맞은 온도는 31℃이나 온도에 대한 적응범위가 넓어 10.6~37.2℃ 사이에서는 증식 가능하다고 한다. 감염기구 주요감염 경로는 성충의 배설물이다. 하지만, N. apis 포자는 바람이나 여러 종류의 곤충과 꽃, 물 등과 접촉하는 벌에 의해 전파된다. 꿀벌 위에서 생긴 포자의 일부는 같은 벌의 위에서 발아 증식하게 되고, 일부는 똥과 함께 배설되어 전파한다. 그래서 이 병은 주로 도봉과 오염된 기구 및 야외에서 운반하여 오는 물 등에 의해 전염된다. 계절별 감염율은 북미나 유럽에서 봄철에 감염율이 가장 높고 여름철에 현저하게 저하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봉군이 약세일 때 이병은 폭발적으로 일어난다. 방제및예방 꿀벌의 노제마병 예방책으로는 봄과 가을에 봉군관리를 철저히 하고 양봉장의 근처에 오염된 물이 고여있지 않도록 청결히 한다. 치료법은 벌통 안의 습기를 제거하여 주고 석탄산의 희석당액을 먹게 하는 것이 권장되어 왔다. 벌들이 석탄산 당액을 먹으면 위중에 흡수되어 미포자충이 소독되어 죽는 벌이 감소되고 건강을 회복하는데, 이를 계속해서 2~3회 급여한다. 또한 벌통은 포르말린 훈증소독을 하여 청결하게 한다. 기존에는 미포자충병 치료제로서 노제막크나 치메로살 등을 쓰고 있는데 이 제제들은 수은제이기 때문에 WHO에서 이 제제의 사용을 금지하였으며, 생산마저 극히 제한하고 있다. 푸마질린B의 항노제마는 실험에서 높은 항원충 효과를 나타냈으므로 앞으로는 푸마질린B의 사용을 권장한다. 푸마질린B는 꿀벌의 세포내 DNA복제는 방해하지 않고 미포자충의 DNA복제를 방해하여 미포자충이 성장하지 못하게 한다. 외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또 다른 노제마별 치료제로는 초산이나 엑틸렌옥사이드 훈증을 사용하는 것이다. 벌통 위에 80%초산 120㎖를 넣어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보았다. 결론적으로 미포자충병을 구제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사양관리, 훈증, 고온소독 등이 권장되며 마포자충병에 감염된 양봉기구가 소독 처리된 양봉기구와 섞이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 질병정보
-
상세정보 질병명 백묵병 원인균 Asospaera apis 현황 포자의 형태로 꿀벌의 유충에만 감염되며, 포자는 10년~15년까지 병원성을 유지할 정도로 생존력이 강하다. 병징 이 균에 감염된 애벌레의 사체가 딱딱한 흰색으로 되므로 백묵병(chalk-brood)라고 한다. 감염된 유충은 유아방 밖에서 많이 발견되어 봉개는 닫아있거나 또는 열려있을 수도 있다. 감염되어 죽은 사체는 처음 솜처럼 보이며 약간 팽대하나, 시간이 지나면 균사가 증식함에 따라서 없어지면서 흰색 또는 흑색으로 딱딱하게 굳어진다. 병원체특성 포자는 1.0×2.5㎛의 타원형이고, 영양체(fruiting body: 또는 포자낭, spore cysts)는 균사간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되며, 큰 구형이다. 크기는 60㎛~90㎛이며, 다수의 포자로 구성되어 있다. 감염기구 포자가 꿀벌유충의 경구로 침입하여 중장에서 발아한다. 발아된 포자는 균사(mycelium)의 형태로 급속히 증식하여 유충을 치사시키고, 장관을 통하여 증식하며 결국 균사로 유충전체를 감싸게 된다. 방제및예방
- 질병정보
-
상세정보 질병명 원인균 Meelissococcus pluton 현황 null 병징 병원체특성 감염기구 방제및예방 세균은 바이러스와 달리 항생제에 민감하므로, 항생제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예방과 방제가 가능하다. 봉군의 병 진행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테라마이신에 의한 화학적인 치료를 실시한다. 아울러 테라마이신을 이른 봄과 가을철에 봉군이 급성장하기 전, 미리처리를 하면 발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거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