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자원 유형 및 종류
- 분류정보
-
상세정보 학명 Argyreus hyperbius (Linnaeus) 목명 Lepidoptera[나비목] 과명 Nymphalidae[네발나비과] 국명 암끝검은표범나비 별칭 이미지 형태(성충) 날개를 편 길이는 70-80mm 정도이다. 수컷의 날개 윗면은 다른 표범나비류와 같이 귤빛 바탕에 검은 점무늬가 퍼져있다. 그러나 암컷의 앞날개 끝은 절반 가량이 검게 그을린 듯 어두운 흑자색을 띠고 있어 암끝검은표범나비라 부른다. 암컷의 앞날개 끝에 검은 부분에는 넓게 흰색의 띠무늬가 있다. 수컷의 앞날개 아랫면은 날개 끝이 연한 녹색을 띠고 있고 은색 무늬가 몇 개 있으며 그 외는 붉은 빛이 돈다. 반면에 뒷날개 아랫면에는 은색과 연녹색무늬 및 검은줄 모양의 무늬가 어우러져 있다. 국내 분포지 중부이남, 울릉도, 제주도 국외 분포지 일본, 중국, 대만, 동양구, 호주 참고문헌 김창환, 1976, 한국곤충분포도감 제1편 나비류, 고려대학교 출판부, 남상호,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V. 나비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조복성, 1959, 한국동물도감 (I) 나비류, 문교부,
- 생태
-
상세정보 이미지 생활사 기주식물은 각종 제비꽃류이다. 식성 성충은 2월-11월에 걸쳐 연 4-5회 나타난다. 제주도 등 남부 도서지방이나 해안가 등의 저지대의 밭 주변의 초지, 시가지 내의 공터등에서 발견되는데 간혹 중부지방의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기도 한다. 다른 대형 표범나비류와는 달리 수컷은 가끔 산 정상에서 점유행동을 하며, 엉겅퀴나 큰까치수영 등 여러 종류의 꽃에서 흡밀한다. 암컷은 기주식물의 잎이나 그 주변의 풀, 바위 등에 알을 한 개씩 낳는다. 부화한 유충은 1령 유충 상태로 월동하는데 유충이 추위에 약하여 제주도나 남부 해안지대에서 생존이 가능하다. 제주 남부지역에서 2월에도 성충이 나타나므로 성충 월동도 존재하는 듯 한다. 참고문헌 남상호, 1998, 한국곤충생태도감 V. 나비목, 고려대학교 곤충연구소, 박규택, 김성수, 1997, 곤충자원편람 I. 한국의 나비, 생명공학연구소, 한국곤충분류연구회, 신유항, 1991, 한국나비도감, 아카데미서적, 주흥재, 김성수, 손정달, 1997, 한국의 나비, 교학사,
- 사육정보
-
상세정보 자연먹이 제비꽃류 인공사료 사육조건 사육실: 일반적으로 온도 25℃, 14시간이상 조명 조건 사육상자: 유충 때는 PET병 윗부분을 자르거나 플라스틱 뚜껑에 촘촘한 망으로 덮거나 작은 구멍을 내어 사용한다. 유충사육법 실내에서 사육할 땐 제비꽃잎은 쉽게 마르기 때문에 가능한 수분유지가 중요하다. 제비꽃잎을 줄 때 가능한 잎 하나하나 따서 주는 것 보다는 뿌리 윗부분까지 채취하여 주면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비꽃잎류 중 외국제비꽃잎은 잎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대량사육시 이 식물을 이용하면 기주식물 확보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유충의 활동성이 활발하기 때문에 사육용기는 가능한 뚜껑이 있는 것으로 하고 내부에는 호랑나비, 배추흰나비들과는 다르게 기주식물잎에만 있는 것이 아니어서 유충들이 쉬고 활동할 수 있게 낙엽이나 인조잎 등과 같은 구조물을 넣어주면 사육하기 좋다. 성충사육법 암컷은 제비꽃잎에 알을 낳기도 하나, 기주식물주변의 다른 식물이나 바위, 땅에도 알을 낳는다. 성충을 사육할 때는 공기가 잘 통하게 가능한 망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상자내 망 사이뿐만 아니라 여기 구조물에 산란을 한다. 기주식물외에 산란한 알을 채취하기는 상당히 힘들다. 사육경험상 철망사이에 산란된 알의 경우는 산란 이틀 후 물을 분무하고 붓으로 조심스럽게 떼 내면 되고 아니면 알 주변에 화분에 심은 제비꽃을 두면 활동성이 활발한 유충이 먹이를 먹기 위해 모여 든다. 성충은 일반적으로 노란색 색깔의 꽃에 잘 모인다. 먹이로 유산음료나 스포츠음료, 20% 농도의 꿀물이나 설탕물을 줄때 노란 식용색소를 첨가하거나 용기를 노란색으로 하면 더욱 더 유인이 잘 된다. 기타 나비류는 한배끼리 교배를 하게 되면 2∼3세대째에 임성(姙性)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유충을 3그룹으로 나누어 사육해서 각 그룹에서 우화한 나비를 자체 교배시키지 말고 다른 그룹의 나비와 교배시키는 순환교배법을 사용하든가 외부에서 나비를 잡아와 교배시켜 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환, 199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비 백가지, 현암사, 박규택, 김성수, 1997, 한국의 나비, 한국곤충분류연구회,생명공학연구소, 설광열, 홍성진, 김남정, 이희권, 1998, Mass-rearing of the Black-tipped fritilary butterfly with artificial diet, 제3차 아시아·태평양 곤충학회발표대회,
- 질병정보
-
상세정보 질병명 원인균 미포자충(Nosema sp.CO3), 곰팡이,세균, 바이러스(NPV) 현황 미포자충의 피해가 12%, 곰팡이피해가 10%, 바이러스 피해가 7%로서 다양한 병균의 피해를 받았다. 병징 병원체특성 감염기구 미포자충은 경란전염을 하고, 곰팡이는 공기를 통하여 경피전염을 하며, 바이러스는 먹이식물을 통하여 경구 전염을 한다. 방제및예방 참고문헌 김정환, 199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비 백가지, 현암사, 박규택, 김성수, 1997, 한국의 나비, 한국곤충분류연구회,생명공학연구소, 설광열, 홍성진, 김남정, 이희권, 1998, Mass-rearing of the Black-tipped fritilary butterfly with artificial diet, 제3차 아시아·태평양 곤충학회발표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