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 미생물 분양은 별도 특허미생물 메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분양 신청 자격 |
|
미생물은 인간에게 유익함을 제공하지만 잘못 취급할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큰 피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국가기관인 KACC는 미생물의 오용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를 막기 위하여 미생물을
취급할 수 있는 시설과 기술을 보유한 단체에 소속된 자에게 회원자격을 부여하고 회원에 한하여 미생물을
분양하고 있다.
교육기관 중의 고등학교 이하는 정규 교사가, 대학은 전임강사 이상이(연구교수, 대학원생 불가),국공립연구소 및 사업체의 경우에는 정규직 연구원이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개인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양회원이 될 수 없다.
회원신청은 KACC 홈페이지의 회원 등록에서 할 수 있으며 등록 후 2일 이내에 KACC가 승인여부를 확인해서 승인하며, 회원이 되면 즉시 분양신청이 가능하다. |
|
|
|
|
분양 수량
및 가격 |
|
대학을 포함한 교육기관과
국공립연구소에 속한 회원은 1회에 10균주 이하, 연간 20주 이내(동일균주는 1년 1회만 신청가능)에서 무상으로 분양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를 초과하여 분양받고자 할 경우에는 국립농업과학원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
|
|
|
분양 절차 |
|
분양회원으로 승인을 받은
신청자는 KACC 홈페이지에서 On line으로 분양
신청을 하고 신청균주가 기록된 “KACC 미생물 분양신청서“을
인쇄, 서명한 후 FAX (063-238-3845)
또는 e-mail(kacc@korea.kr)로 KACC에 발송한다. 생물안전성 위험등급
(Biosafety level) 2등급, 생화학무기법상 생물작용제, 재배가 가능한
버섯자원을 신청할 경우에는 위의 신청 절차에 추가하여
각각 “병원성 미생물에 관한 책임서약서”, “생물작용제 사용에 관한 책임서약서” 및 “버섯자원 사용제한에
관한 책임서약서”를 작성하여 소속단체장의 서명을 받은
후에 FAX (063-238-3845) 또는 e-mail(kacc@korea.kr)로 KACC에
발송하여야 한다. |
|
|
|
|
균주우송 |
|
대부분의 미생물은 동결건조된
ampoule로 우편 배달됩니다. 동결건조 보존된
미생물은 별도의 재생 및 배달조건을 요하지 않으므로
접수 후 2 주내에 균주를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기타의 방법 (액체질소보존, 광유보존 등) 으로 보존된
미생물은 재생 및 확인 과정이 필요하므로 2-4주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성장이 늦은 균주나 순수분리가
필요한 균주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
|
|
|
|
분양불만족
등록 (재분양 요청) |
|
균주를 수령하여 해당조건에서
배양한 결과 균주의 활력이 없거나, 오염된 경우 혹은
오동정균주로 판명된 경우에는 균주 수령 후 30일 이내에
홈페이지의 분양클레임을 통하여 재 분양을 요구할
수 있다. 분양절차의 투명화를 위하여 홈페이지의 분양클레임을
통하여서만 접수하고 그 결과는 역시 분양클레임의 답변
난을 통하여 제공한다. 균주의 이상이 KACC의 잘못으로
인정될 경우 신청자의 요구에 따라 KACC는 신속히
재분양 한다. 하지만 KACC는 잘못된 균주에 따른
재분양외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
|
|
|
|
균주 활용결과
제출 |
|
분양신청자의 미생물활용결과는
다음사용자의 연구에 매우 소중한 정보가 됩니다. 해당
균주에 대하여 밝혀진 특성정보, 염기서열, 사진,
그리고 논문 정보 등을 홈페이지의 분양결과에 온라인으로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KACC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것입니다. |
|